올림픽 탁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탁구는 올림픽에서 진행되는 탁구 종목을 의미한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현재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체전, 혼합 복식의 다섯 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도쿄 올림픽부터 단체전 경기 방식이 변경되었고, 1988년부터 2020년까지 108개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 소속 선수들이 참가했다. 중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탁구 대회 -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탁구연합이 주관하며 아시아 각국을 순회하는 국제 탁구 대회로, 단식, 복식, 단체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 탁구 대회 - ITTF 프로 투어
ITTF 프로 투어는 국제 탁구 연맹이 1996년부터 세계 각지에서 투어 형식으로 개최한 탁구 대회로, 남녀 단식, 복식, 혼합 복식 등의 종목을 진행하며 그랜드 파이널 출전 자격을 부여했으나, 2012년 ITTF 월드 투어로 변경, 2020년부터는 WTT로 대체되었다. - 올림픽 탁구 - 2008년 하계 올림픽 탁구
2008년 하계 올림픽 탁구는 2008년 8월에 개최되어 남자/여자 단식 및 단체전 4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금메달 4개를 포함하여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탁구 - 1988년 하계 올림픽 탁구
1988년 서울 올림픽 탁구는 41개국 129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남녀 단식과 복식의 4종목에서 경쟁했으며, 대한민국은 남자 단식과 여자 복식에서 금메달을, 중국은 최다 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탁구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탁구
2008년 하계 올림픽 탁구는 2008년 8월에 개최되어 남자/여자 단식 및 단체전 4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금메달 4개를 포함하여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탁구에 관한 - 1988년 하계 올림픽 탁구
1988년 서울 올림픽 탁구는 41개국 129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남녀 단식과 복식의 4종목에서 경쟁했으며, 대한민국은 남자 단식과 여자 복식에서 금메달을, 중국은 최다 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 탁구 | |
---|---|
기본 정보 | |
종목 코드 | TTE |
스포츠 | 탁구 |
올림픽 참가 정보 | |
남자 경기 수 | 2 |
여자 경기 수 | 2 |
혼합 경기 수 | 1 |
첫 올림픽 참가 | 1988 |
역대 우승 정보 | |
최근 남자 단식 우승 | 마룽 (중국) |
최근 여자 단식 우승 | 천멍 (중국) |
최근 남자 단체 우승 | 중국 (판젠둥/마룽/쉬신) |
최근 여자 단체 우승 | 중국 (천멍/쑨잉샤/왕만위) |
최근 혼합 복식 우승 | 미즈타니 준/이토 미마 (일본) |
2. 역대 대회
하계 올림픽 탁구 종목은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현재까지 매 대회마다 개최되고 있다.[1]
2. 1. 역대 대회 결과
올림픽 | 연도 | 세부 종목 | 최고 국가 |
---|---|---|---|
24회 | 1988 | 4 | 중화인민공화국 (1) |
25회 | 1992 | 4 | 중화인민공화국 (2) |
26회 | 1996 | 4 | 중화인민공화국 (3) |
27회 | 2000 | 4 | 중화인민공화국 (4) |
28회 | 2004 | 4 | 중화인민공화국 (5) |
29회 | 2008 | 4 | 중화인민공화국 (6) |
30회 | 2012 | 4 | 중화인민공화국 (7) |
31회 | 2016 | 4 | 중화인민공화국 (8) |
32회 | 2020 | 5 | 중화인민공화국 (9) |
33회 | 2024 | 5 | 중화인민공화국 (10) |
올림픽 탁구 종목은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시작되었으며, 당시에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의 네 종목으로 구성되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부터 복식 종목이 단체전으로 대체되었고,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혼합 복식이 추가되면서 현재는 총 다섯 종목이 진행되고 있다.
3. 경기 종목
종목 / 년도 88 92 96 00 04 08 12 16 20 24 합계 현행 종목 남자 단식 10 남자 단체 5 여자 단식 10 여자 단체 5 혼합 복식 2 현재는 실시되지 않는 종목 남자 복식 5 여자 복식 5 colspan="12" | 종목 수 4 4 4 4 4 4 4 4 5 5 42
3. 1. 세부 종목
1992년에는 각 종목에서 동메달 2개가 수여되었다. 2008년에는 복식 종목이 단체전으로 대체되었다.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중국 탁구팀은 8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남자 및 여자 단식 종목에서 포디엄 독식을 달성했다. 중국의 탁구 종목 독주로 인해 2012년 올림픽에서는 각 국가올림픽위원회(NOC)가 최대 2명의 선수를 단식 종목에 출전시킬 수 있도록 규칙이 변경되었다. 성 평등이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혼합 복식 종목이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새롭게 추가된 9개의 혼성 종목 중 하나가 되었다.[3]
종목 | 88 | 92 | 96 | 00 | 04 | 08 | 12 | 16 | 20 | 24 | 연도 |
---|---|---|---|---|---|---|---|---|---|---|---|
남자 단식 | • | • | • | • | • | • | • | • | • | • | 10 |
남자 복식 | • | • | • | • | • | 5 | |||||
남자 단체 | • | • | • | • | • | 5 | |||||
여자 단식 | • | • | • | • | • | • | • | • | • | • | 10 |
여자 복식 | • | • | • | • | • | 5 | |||||
여자 단체 | • | • | • | • | • | 5 | |||||
혼합 복식 | • | • | 2 | ||||||||
종목 | 4 | 4 | 4 | 4 | 4 | 4 | 4 | 4 | 5 | 5 |
3. 2. 경기 방식
현재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은 7게임 매치(4게임 선취)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준결승에서 패배한 선수 2명은 3위 결정전을 치른다. 단체전은 5게임 매치(3게임 선취)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팀은 3명의 선수로 구성된다. 5경기를 진행하여 3경기를 먼저 이기는 팀이 승리한다. 2020년 도쿄 올림픽부터 단체전은 제1경기에 복식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020년 도쿄 올림픽부터 변경된 단체전 경기 방식은 다음과 같다.
경기 | 형식 | 팀 ABC | 팀 XYZ |
---|---|---|---|
1 | 복식 | B+C | Y+Z |
2 | 단식 | A | X |
3 | 단식 | C | Z |
4 | 단식 | A | Y |
5 | 단식 | B | X |
이 방식은 다른 국제 대회에서는 이미 2018년부터 채택되었으며, A와 X는 단식 2경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팀의 에이스급 선수가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C와 Z는 상대 에이스급 선수(A 또는 X)와는 대결하지 않게 된다.
4.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32 | 20 | 8 | 60 | |
2 | 3 | 3 | 12 | 18 | |
3 | 1 | 3 | 4 | 8 | |
4 | 1 | 1 | 1 | 3 | |
5 | 0 | 4 | 5 | 9 | |
6 | 0 | 1 | 3 | 4 | |
7 | 0 | 1 | 2 | 3 | |
0 | 1 | 2 | 3 | ||
9 | 0 | 1 | 1 | 2 | |
0 | 1 | 1 | 2 | ||
'''' | 0 | 1 | 1 | 2 | |
12 | 0 | 0 | 1 | 1 | |
합계 | 37 | 37 | 41 | 115 |
2024년 올림픽 이후 업데이트됨.
4. 1. 국가별 메달 집계
2024년 올림픽 이후 업데이트됨.
5. 참가국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올림픽 탁구 종목에는 많은 국가들이 참가해왔다. 각 대회마다 참가국 수와 선수 수는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국가 | 88 | 92 | 96 | 00 | 04 | 08 | 12 | 16 | 20 | 참가 연도 | |
---|---|---|---|---|---|---|---|---|---|---|---|
style="text-align: left;"| | – | – | – | 2 | 5 | 1 | – | – | 1 | 2 | 5 |
style="text-align: left;"| | 1 | 2 | – | 2 | 3 | 2 | 1 | – | 2 | 1 | 8 |
style="text-align: left;"| | 3 | 2 | 5 | 9 | 6 | 6 | 6 | 6 | 6 | 6 | 10 |
style="text-align: left;"| | 2 | 2 | 4 | 5 | 4 | 6 | 6 | 6 | 6 | 2 | 10 |
style="text-align: left;"| | URS | EUN | 2 | 5 | 5 | 4 | 3 | 3 | – | AIN | 6 |
style="text-align: left;"| | 2 | 2 | 2 | 2 | 1 | 1 | 1 | – | – | 2 | 8 |
style="text-align: left;"| | YUG | – | 1 | – | 1 | – | – | – | – | – | 2 |
style="text-align: left;"| | 2 | 4 | 4 | 3 | 5 | 4 | 6 | 6 | 6 | 6 | 10 |
style="text-align: left;"| | 2 | 1 | – | – | – | – | – | – | 1 | – | 3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1 | 1 | – | 1 | 1 | 4 |
style="text-align: left;"| | 3 | 2 | 5 | 6 | 4 | 5 | 4 | 2 | 3 | 4 | 10 |
style="text-align: left;"| | 3 | 3 | 4 | 5 | 4 | – | 1 | – | 1 | 3 | 8 |
style="text-align: left;"| | 7 | 8 | 8 | 9 | 9 | 6 | 6 | 6 | 7 | 6 | 10 |
style="text-align: left;"| | 6 | – | 6 | 7 | 4 | 5 | 3 | 6 | 6 | 6 | 9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1 | 1 | 1 | – | – | 3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2 | 3 | 3 | – | 1 | 4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2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YUG | 2 | 4 | 4 | 3 | 6 | 4 | 1 | 3 | 4 | 9 |
style="text-align: left;"| | – | 4 | – | 5 | – | – | 1 | 2 | 2 | 3 | 6 |
style="text-align: left;"| | TCH | 3 | 2 | 4 | 2 | 2 | 4 | 2 | 1 | 8 | |
'''' | 4 | 5 | 해산 | 2 | |||||||
style="text-align: left;"| | – | – | – | 2 | 2 | 1 | 3 | 1 | 1 | 3 | 7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1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3 | – | 1 | – | 2 | 4 | 1 | – | – | – | 5 |
style="text-align: left;"| | – | 1 | – | – | – | – | – | – | 1 | 1 | 3 |
style="text-align: left;"| | 3 | 2 | – | 5 | – | 5 | 6 | 5 | 6 | 7 | 8 |
style="text-align: left;"| | URS | 1 | – | – | –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 | 1 | 1 | 1 | 3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 | 1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2 | 6 | 6 | 5 | 1 | 4 | 3 | 4 | 6 | 6 | 10 |
style="text-align: left;"| | – | 5 | 7 | 8 | 8 | 6 | 6 | 6 | 6 | 7 | 9 |
style="text-align: left;"| | 1 | 2 | 2 | – | – | – | – | – | – | – | 3 |
style="text-align: left;"| | 4 | 6 | 4 | 1 | – | – | 6 | 3 | 3 | 2 | 8 |
style="text-align: left;"| | – | – | 2 | 2 | 4 | 3 | 2 | 1 | 1 | 1 | 8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 | – | 1 | 1 | 2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1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6 | 4 | 4 | 4 | 8 | 6 | 6 | 6 | 6 | 4 | 10 |
style="text-align: left;"| | 5 | 1 | 4 | 3 | 3 | 4 | 4 | 3 | 6 | 3 | 10 |
style="text-align: left;"| | – | 5 | – | – | –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3 | 4 | 2 | 3 | 2 | 2 | 2 | 4 | 4 | 6 | 10 |
style="text-align: left;"| | 1 | 3 | 2 | 2 | – | – | – | – | – | – | 4 |
style="text-align: left;"| | – | 1 | – | 1 | 1 | 1 | 2 | 3 | 1 | 3 | 8 |
style="text-align: left;"| | 1 | – | – | – | –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1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1 | 1 | 3 | – | 5 | 3 | 2 | – | 1 | 2 | 8 |
style="text-align: left;"| | 1 | 1 | 2 | – | – | – | – | – | – | – | 3 |
style="text-align: left;"| | 7 | 8 | 8 | 9 | 8 | 6 | 6 | 6 | 6 | 6 | 10 |
style="text-align: left;"| | 1 | 1 | – | 1 | 1 | 1 | – | – | – | 1 | 6 |
style="text-align: left;"| | URS | EUN | – | – | – | 1 | – | 1 | 2 | 1 | 4 |
style="text-align: left;"| | – | – | 1 | – | – | 1 | 1 | – | – | – | 3 |
style="text-align: left;"| | URS | – | – | – | – | – | 1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 | – | 1 | – | – | – | 1 | 1 | – | 1 | 4 |
style="text-align: left;"| | – | 1 | – | – | –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URS | – | 1 | 2 | – | 1 | – | – | – | – | 3 |
style="text-align: left;"| | – | – | – | 2 | – | 1 | 1 | 1 | 2 | 3 | 6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 | – | – | 1 | 1 |
style="text-align: left;"| | 2 | – | – | – | –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 | – | – | 1 | 1 |
style="text-align: left;"| | 2 | – | – | 1 | – | – | – | – | – | – | 2 |
style="text-align: left;"| | – | – | 1 | – | – | 1 | 1 | 2 | – | 2 | 5 |
style="text-align: left;"| | URS | EUN | – | – | – | – | – | – | – | 1 | 1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 | – | 1 | 1 | 2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 | – | 2 | – | 1 |
style="text-align: left;"| | – | 1 | – | – | –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 | – | – | 1 | 1 |
style="text-align: left;"| | 2 | 3 | 6 | 2 | 2 | 3 | 3 | 3 | 1 | 1 | 10 |
style="text-align: left;"| | 2 | 3 | 1 | 3 | 2 | – | – | – | – | – | 5 |
style="text-align: left;"| | 6 | 6 | 4 | 7 | 8 | 6 | 4 | 5 | 4 | 4 | 10 |
style="text-align: left;"| | – | 8 | 7 | – | 4 | 5 | 6 | 3 | – | 3 | 7 |
style="text-align: left;"| | 1 | – | – | – | –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1 | 1 | 1 | – | – | 3 |
style="text-align: left;"| | 1 | 4 | 2 | – | 1 | – | – | – | – | – | 4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 | 1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3 | 3 | 2 | 2 | 2 | 4 | 4 | 6 | 3 | 5 | 10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3 | 4 | 5 | 5 | 5 | 5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 | 2 | 3 | 3 | 3 |
style="text-align: left;"| | – | – | 1 | 1 | – | – | 1 | 1 | – | – | 4 |
style="text-align: left;"| | URS | EUN | RUS | 3 | AIN | 1 | |||||
style="text-align: left;"| | – | 4 | 5 | 3 | 4 | 4 | 3 | 5 | 4 | 5 | 9 |
style="text-align: left;"| | URS | EUN | 4 | 3 | 6 | 5 | 5 | 3 | ROC | 6 | |
style="text-align: left;"| | – | 1 | – | – | 1 | – | – | – | 1 | – | 3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1 | – | – | – | 1 | 1 | 3 |
style="text-align: left;"| | YUG | IOP | SCG | 1 | 2 | 1 | 3 | 1 | 5 | ||
'''' | YUG | IOP | 3 | 2 | 3 | 해산 | 3 | ||||
style="text-align: left;"| | – | – | 1 | 2 | 4 | 6 | 6 | 5 | 4 | 3 | 8 |
style="text-align: left;"| | TCH | 1 | – | – | 1 | – | 3 | 3 | 1 | 5 | |
style="text-align: left;"| | YUG | 1 | – | – | – | 1 | 1 | 1 | 3 | 3 | 6 |
style="text-align: left;"| | – | 2 | – | – | –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7 | 8 | 8 | 8 | 9 | 6 | 7 | 6 | 6 | 6 | 10 |
'''' | 5 | EUN | 해산 | 1 | |||||||
style="text-align: left;"| | – | 4 | – | – | 1 | 5 | 5 | 3 | 3 | 2 | 7 |
style="text-align: left;"| | – | – | 1 | – | – | – | – | – | – | – | 1 |
style="text-align: left;"| | 4 | 6 | 7 | 6 | 3 | 3 | 3 | 5 | 5 | 6 | 10 |
style="text-align: left;"| | – | – | 1 | – | – | – | – | – | 1 | – | 2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 | 1 | 1 | – | 2 |
style="text-align: left;"| | – | – | – | 1 | 1 | 1 | 1 | 3 | 2 | 3 | 7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 | 1 | – | 1 | – | 2 |
style="text-align: left;"| | – | – | 1 | – | – | 1 | – | – | – | – | 2 |
style="text-align: left;"| | 4 | 3 | 1 | 1 | 2 | – | – | 1 | 2 | – | 7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2 | 2 | 2 | – | 1 | 4 |
style="text-align: left;"| | – | – | 1 | 1 | – | – | – | – | – | – | 2 |
style="text-align: left;"| | – | 1 | 3 | 1 | – | – | – | – | – | – | 3 |
style="text-align: left;"| | – | – | – | 1 | – | 3 | 4 | 2 | 3 | 3 | 6 |
'''' | URS | 6 | 해산 | 1 | |||||||
style="text-align: left;"| | 3 | 5 | 6 | 8 | 7 | 4 | 4 | 6 | 6 | 4 | 10 |
style="text-align: left;"| | URS | EUN | – | – | 1 | – | – | 1 | – | – | 2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 1 | 2 | 1 | 1 | 1 | 5 |
style="text-align: left;"| | 2 | – | 1 | 2 | 2 | 1 | 1 | 1 | – | – | 7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1 | 1 | – | – | – | – | 2 |
'''' | 6 | GER | 1 | ||||||||
'''' | 5 | 해산 | 1 | ||||||||
colspan="12"| | |||||||||||
국가 수 | 41 | 48 | 51 | 48 | 50 | 56 | 57 | 56 | 57 | 60 | |
선수 수 | 129 | 159 | 166 | 171 | 172 | 171 | 174 | 172 | 173 | 175 | |
연도 | 88 | 92 | 96 | 00 | 04 | 08 | 12 | 16 | 20 | 24 |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41개국이,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48개국이 참가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는 51개국,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는 48개국,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는 50개국이 참가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는 56개국, 2012년 런던 올림픽에는 57개국,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는 56개국, 그리고 2020년 도쿄 올림픽에는 57개국이 참가하여 탁구 실력을 겨뤘다.
5. 1. 국가별 참가 현황
1992년 독립 선수단과 연합팀을 포함하여 108개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 소속 선수들이 올림픽 탁구 대회에 출전했다.[5]참조
[1]
웹사이트
Olympics at Sports-Reference.com - Table Tennis
https://web.archive.[...]
Sports Reference
2010-06-25
[2]
웹사이트
Olympics Medalists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0-06-25
[3]
웹사이트
Tokyo Olympics 101: What are the new sports?
https://www.nbcolymp[...]
NBC Universal
2021-10-27
[4]
웹사이트
Olympic Analytics -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2022-01-31
[5]
웹사이트
Athlete count for Table Tennis
https://www.olympedi[...]
Olympedia
2021-10-28
[6]
웹사이트
2016年ITTFカレンダー
http://old.ittf.com/[...]
국제탁구연맹
[7]
웹사이트
Kong Linghui
http://www.ittf.com/[...]
국제탁구연맹
2004-03-18
[8]
뉴스
日本経済新聞
2010-05-25
[9]
웹인용
탁구
http://www.olympic.o[...]
국제 올림픽 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